체크리스트 세번째 항목은 "목표단가"입니다.
이번 광고 캠페인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노출수/유입수/조회수/전환수를 확보해 나갈 지에 대한 각각의 목표 효율지표 단가를 설정합니다.
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, 카카오모먼트, Meta, 구글애즈 등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셀프서빙(Self-Serving) 광고 매체의 경우 목표단가에 맞춰 희망하는 입찰가를 수동 설정 및 조정할 수 있으며 지표 추이에 따라 입찰가 최적화 운영이 가능합니다.
(입찰가 최적화 운영 상세 내용은 "04.퍼포먼스 최적화" 챕터에서 다룰 예정)
지금껏 제가 다수의 구글애즈 캠페인을 운영하면서 확인된 배너/영상광고 상품별 평균 시작 입찰가 아래와 같이 공유드리오니 구글애즈 캠페인 초기 입찰가 설정 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이렇게 설정한 입찰가를 기반으로 Meta, 구글애즈 등 머신러닝 기반의 매체는 효율측면에서 목표로 하는 지표(노출/유입/조회/전환)를 확보해나가기 위해 아래와 같이 대표적으로 5가지로 분류되며 머신러닝 학습이 이루어집니다.
1) 타겟CPM(Cost Per Mille)
: 1,000회 노출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금액을 기준으로 노출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식
2) 타겟CPC(Cost Per Click)
: 클릭 1회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금액을 기준으로 클릭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식
3) 타겟CPV(Cost Per View)
: 조회 1회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금액을 기준으로 조회를 최대한 확보하는 방식
4) 타겟CPA(Cost Per Action)
: 목표로 하는 전환의 타겟 CPA값에서 최대한 전환을 확보하는 방식
5) 전환수최대화
: 예산 내에서 목표로 하는 전환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식
#퍼포먼스마케팅 #퍼포먼스마케터 #디지털마케팅 #디지털마케터
#온라인마케팅 #온라인마케터 #그로스마케팅 #그로스마케터
#체크리스트 #퍼포먼스멘탈리티